식품 건강 생활정보

어르신 교통카드 발급방법 시니어 패스카드 재발급

별빛로니 2022. 11. 14. 15:32
반응형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65세가 되면 지하철 무료 탑승할 수 있는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시니어패스라는 어르신 교통카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지하철을 이용해서 이동하는 어르신분들에게는 생활에 큰 도움이 되는 혜택인데요. 그러면 이 카드는 어떻게 발급받아야 할까요? 만약 분실하게 되면? 버스는 무료 이용이 가능한지? 궁금한 사항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살펴보면서 어르신 우대용 교통카드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바로 살펴보실까요.

 

 

 

 

 

 

 

목차

 1. 어르신교통카드 시니어패스 카드란?
 2. 시니어 패스카드 재발급 방법
 3. 시니어 패스카드 무임 버스 이용 가능?
 4. 시니어 패스카드 이용시 주의사항

 

어르신 교통카드 시니어패스카드란?


어르신 우대용 교통카드 시니어패스는 무엇인가?

수도권 도시철도 무임승차 대상자가 이용하는 1회용 교통카드를 대신하여 발급되는 반영구적인 무임용 교통카드입니다.

 

발급 대상

수도권 도시철도 무임승차 대상자 만 65세 이상 경로우대자, 장애인, 유공자 중 주민등록 기준 서울시에 거주하는 자에 한합니다.

 

단, 유공자는 수송시설 이용 지원 대상자(애국지사, 국가유공자, 5.18 민주화운동 부상자)에 한합니다.

 

어르신 우대카드 발급방법

1인당 1장 발급하게 되는데 단순 무임카드신용/체크카드로 선택해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신분증을 지참하고 본인이 직접 발급 신청을 하러 가야 합니다. 장애인과 유공자는 체크카드 신청 시 통장(우체국 또는 신한은행) 사본이 필요합니다.

신청할 수 있는 카드 종류는  단순 무임카드와 신용/체크카드 중 하나를 신청할 수 있는데 각각 신청하는 곳이 다릅니다.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순 무임카드>
- 교통카드 기능만 제공됩니다. 
-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 발급 후 3일 정도 후부터 사용이 가능합니다.

 

<신용/체크카드>  
-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겸용 교통카드를 만들고 싶은 분들이 신청합니다.
- 신한은행 영업소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발급 후 즉시 사용이 가능합니다. 
- 카드 연체 등으로 신용카드 이용이 정지되는 경우에는 교통카드 기능도 정지됩니다. 이럴 땐 단순 무임카드로 다시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니어 패스카드 재발급 방법


카드를 분실하게 되었으면 바로 신고하고 재발급 받아야 합니다. 재발급 할때는 대리인이 발급 가능합니다. 

 

단순 무임카드 발급받은 시니어패스는 주민센터에서 재발급 받으면 됩니다. 이때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재발급 비용 3,000원입니다. 

 

체크/ 신용카드로 발급받은 분들은 신한은행에서 재발급 받아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신분증은 지참하고 가야 합니다. 재발급 비용은 없습니다. 

 

시니어패스 카드 무임 버스 승차 가능한가?


결론을 말하자면 무료로 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수도권 지하철을 이용할 때는 무료이지만, 버스는 유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버스 이용 시 신용카드로 만든 교통카드는 후불로 결제되며, 체크카드 단순 무임카드로 만든 카드티머니(T-MONEY)로 충전 후 버스 사용이 가능합니다. 

 

시니어패스 카드 사용시 유의사항

 

사용시 유의사항

 

- 어르신 교통 우대카드는 발급 대상자 본인만 사용 가능합니다.
- 만약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대여할 시, 부정 사용자에게 승차구간 운임과 그 운임의 30배 추징하고, 대여 양도자는 1년간 사용 및 재발급이 제한됩니다.
- 만약 도난되거나 분실했을 때는 즉시 신고합니다.

 

 


이상 어르신 교통카드 발급방법 재발급 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발급 신청할 때는 꼭 신분증을 지참하는 것 잊지 말고 발급받으러 가시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