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집집마다 처방받은 약이나 약국에서 구입한 약들이 있을 겁니다. 끝까지 다 먹는 경우도 있고 남아서 유통기한이 지난 약들도 있을 텐데요. 안먹는 약 처리는 그냥 쓰레기봉투에 버리면 되는 거 아니야?라고 말하는 분들도 있을 것 같아요.
약 버리는 방법을 모를 경우 가정에서 쓰레기봉투에 버리거나 화장실 변기에 버리거나 물약 같은 경우엔 하수구에 버리는 분들도 있다고 해요.
이렇게 버리게 되면 환경 문제도 생기게 되고 결국 그 영향이 인간에게 전해지기 때문에 절대 이렇게 버리면 안 됩니다. 그럼 어떻게 버려야 할까? 궁금한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차근차근 살펴보면서 안먹는 약 처리 안전하게 해볼까요!
목차
1. 폐의약품 회수와 처리과정 |
2. 약 버리는 방법 |
3. 약 보관법 |
폐의약품 회수와 처리과정
폐의약품 회수와 처리과정
> 안먹는 약 - 수거함 - 운반 - 소각
안먹는 약을 수거하는 곳에 버리면 버린 약들은 운반을 거쳐 소각 처리하게 됩니다.
이렇게 소각처리를 하면 그냥 쓰레기봉투에 버리면 되는 거 아니에요?라는 질문을 할 수도 있겠는데요.
예를 들어 (가) 지자체 쓰레기 봉투는 전부 소각하는 반면, (나) 지자체 쓰레기봉투는 매립과 소각을 나눠서 하고, (다) 지자체 쓰레기봉투는 모두 매립하는 경우로 지자체별로 쓰레기 봉투를 처리하는 방식이 각각 다르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약은 버려야 하는 장소에 버리는 게 가장 좋습니다.
약 버리는 방법
- 약국 의약품 수거함
- 보건소 의약품 수거함
- 주민센터 의약품 수거함
안먹는 약은 약국, 보건소, 주민센터의 폐의약품 수거함에 버리면 됩니다.
약국 봉투, 약을 포장한 상자, 설명서 같은 것들은 일반 쓰레기나 분리배출해서 버립니다.
약국의 경우엔 폐의약품 수거함을 마련한 곳도 있고 없는 곳도 있어요. 주로 이용하는 약국에 방문해서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은데요.
약국에서 약을 버리려고 방문할 때 눈치가 보인다는 분들도 있더군요. 그럴 땐 보건소나 주민센터를 이용해보면 편리할 겁니다.
보건소는 대부분의 경우 폐의약품 수거함이 있고요.
주민센터의 경우 요즘엔 구비해 놓은곳이 많던데 지역에 따라 없는 곳도 있으니 문의해보고 버리면 됩니다. 저는 다행이 저희 동네 주민센터에 폐의약품 수거함이 있어서 이곳에 버리고 있는데 매우 편리합니다.
알약 버리는법 / 가루약 버리는법
알약의 양이 많지 않으면 처방받은 그대로 버려도 괜찮은데, 양이 많다면 알약만 따로 한 군데에 모아 위의 폐의약품 수거하는 곳에 버리면 됩니다.
이렇게 개별로 블리스터 포장돼서 판매하는 약은 따로 꺼내서 담지 않고 이대로 통째로 버리면 되고, 가루약도 가루약끼리 모아서 버리면 좋습니다.
물약 버리는법
물약은 액체류의 약인데요. 약의 종류가 많지 않으면 담겨진 통 그대로 버리면 되고요. 유리병일 경우엔 깨질 수 있으니 깨지지 않은 용기에 담아서 버리면 됩니다. 물약이 많다면 페트병에 한 군데로 모아서 뚜껑을 꽉 닫아 버리세요.
연고, 스프레이형 약
연고나 스프레이형 약 그대로 뚜껑을 잘 닫아서 폐기하면 됩니다.
약 보관법
주로 약은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면 됩니다. 만약 약사님이나 의사 선생님께서 냉장고에 보관해야 되는 약이라고 알려주면 그 약은 꼭 냉장 보관하세요.
더운 여름에 약을 냉장고에 넣어서 보관하는 분들이 종종 있는데요. 이럴 경우 습기로 인해서 약이 변질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약의 유통기한은 약의 성분이 90% 정도 남아있는 기간을 의미한다고 해요. 유통기한이 지날수록 약의 효능은 떨어지고 변질될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전문의들은 처방받은 약은 3-4개월 안으로 먹는 게 좋다고 하더군요. 유통기한이 아직 안 지났지만 약의 색깔이 이상하거나 흐물거리거나 녹았거나 냄새가 이상하거나 분리되어 있다면 안 먹는 게 좋습니다.
이상 약버리는 방법 알약 가루약 물약 연고 안먹는 약 처리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약은 일반 쓰레기로 버리거나 하수도, 변기에 절대 버리면 안됩니다.
약의 성분이 토양에 매립되면 토양이 오염되고, 식물들에게 전해지면 이상 현상이 생길 수 있어요.
또한 매립된 약 성분이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서 수질을 오염시켜 물고기나 동물들에게 기형을 유발하게 되고 슈퍼 박테리아 같은 전염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결국 인간에게 고스란히 전해져 건강을 해치게 되는데요. 환경과 건강을 생각해서라도 안먹는 약은 번거롭게 생각하지 말고 올바르게 버려야겠습니다.
'식품 건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벌집 막내아들 교통사고 범인 11회 줄거리 (0) | 2022.12.12 |
---|---|
사랑 명언 모음 짧은 글귀 명대사 (0) | 2022.12.09 |
2023년 우리은행 달력 그림형 캘린더 (0) | 2022.12.02 |
2022년 카타르 월드컵 포르투갈 선수 명단 몸값 알아보기 (0) | 2022.12.01 |
초보 스키 준비물 스키용품 리스트 (0) | 2022.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