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요즘 환절기라서 그런지 주변에 감기 환자가 많더군요. 감기가 예전과 다르게 오래가고 독한 느낌이 지속되는 게 특징인 것 같아요.
항상 청결에 신경쓰지만 요즘은 마스크도 벗고 생활하기 때문에 감기에 쉽게 노출될 수 있어요. 그래서 개개인의 위생에 더욱 신경 써야 하는 게 아닐까 싶은데요.
가족 중에 감기 환자 1명이 있으면 가족 전체로 전염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특히 아이들에게 독감이 유행인데요. 요즘 감기 증상과 바이러스, 그리고 감기 빨리 낫는 방법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요즘 감기증상 |
2. 감기 빨리 낫는법 |
3. 감기 예방법 감기 예방방법 |
요즘 감기 증상
요즘 감기 증상은 열감기, 목감기가 주요한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감기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독감 바이러스도 유행하고 있는데요. 게다가 코로나 바이러스도 아직 잔존하고 있습니다.
특히 요즘 감기 환자들은 인후염, 편도염, 기관지염을 비롯해 고열과 콧물 증상 등 복합적인 감기 증상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감기 바이러스는 200여개의 다양한 바이러스로 발생하는데, 그중에 30~50%는 리노바이러스, 10~15%는 코로나 바이러스입니다.
감기 바이러스에 노출 되면 1-3일 후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콧물, 코막힘, 목통증, 가래, 기침 등을 시작으로 성인들은 미열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아이들의 경우엔 고열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독감 증상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발생하는데 두통, 근육통과 함께 고열과 급성 호흡기 증상을 동반합니다.
독감은 오한, 발열, 설사, 구토 등 전신 증상을 동반할 수 있기 때문에 감기보다는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것이 무척 힘들 수도 있습니다.
특히 고열이 좀 처럼 떨어지지 않을 땐 폐렴, 중이염, 요로 감염 등의 합병증이 의심될 수 있으니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감기와 함께 환절기 비염 증상도 눈에 띄게 높아졌는데요. 일교차가 커지는 찬바람 역시 비염 증상의 주요한 원인이 됩니다. 아이들의 경우엔 마스크를 쓰거나 옷을 따뜻하게 입고 외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엔 일반적인 감기가 아닐 가능성이 있으니 병원에 가서 꼭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 10여일이 지나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악화될 때
- 배가 아프거나 토할 경우
- 39도 이상 발열
- 귀의 통증
- 식은땀과 오한 동반
- 극심한 두통
- 호흡 곤란
- 지속적인 기침
- 배가 아프거나 토함
- 아이가 지속적으로 계속 울 때
감기 합병증 증상
급성 중이염, 축농증, 폐렴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노인들의 경우엔 앓고 있는 만성 질환이 악화될 수 있으며, 천식 환자는 천식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요즘 감기 빨리 낫는법
요즘 감기 빨리 낫는방법
우선 병원에 가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 감기일 경우엔 충분한 휴식과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을 먹으면 1-2주 이내로 회복할 수 있습니다. 개인 위생관리와 실내 습도를 적정 습도로 유지시켜 주는 게 도움이 됩니다.
독감일 경우는 감기보다는 좀 더 오래 아픈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합병증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데요. 병원에 가서 독감 검사를 받고 독감으로 판명되면 처방약을 잘 섭취하면서 푹 쉬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열이 날 경우엔 다른 성분의 해열제를 교차 복용해도 되는지 의사와 상담 후 드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수액이나 비타민 치료 등을 받으면 좀 더 빠르게 회복이 가능합니다.
독감에 걸리면 입맛도 떨어지는데 특히 소화 능력이 떨어질 수 있으니 부드러운 음식이나 소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음식을 잘 섭취해서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감기약은 빈속에 먹으면 위장 장애를 동반할 수 있기 때문에 식사 후 약을 꼭 섭취하시길 바랍니다.
감기 예방법 감기 예방방법
감기 예방법 감기 예방방법
감기바이러스는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환자의 코, 입에서 나오는 분비물이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 중에 나오게 되고 건강한 사람의 입이나 코에 흡입되어 전파됩니다.
감기가 유행할 땐 사람들이 붐비는 곳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는데요.
또한 환자의 분비물이 들어있는 수건을 함께 사용하거나 환자의 손이 닿았던 물건을 만진 후 눈이나 코, 입 등을 비볐을 때 감염되기도 합니다.
감기를 예방하는 방법으로 자주 손을 씻고, 눈, 코, 입을 손으로 만지는 것을 삼가야 합니다. 또한 다른 사람들과 일상 용품을 함께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체온이 떨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날씨가 추워지면 난방을 해서 실내 온도가 떨어지지 않게 해 주며, 외출할 때는 따뜻한 옷을 입고, 아이들의 경우엔 잠옷도 신경 써주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기관지가 건조해지면 감기가 잘 걸릴 수 있으니 가습기를 사용하거나 젖은 수건을 널어주면서 적정 습도를 유지해 줍니다.
환절기 때는 과로하게 되면 감기에 노출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과로를 피하고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컨디션 조절을 해주면서 면역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비타민이나 식단을 조절해서 드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평소 찜질팩이나 샤워할 때 따뜻한 물로 목덜미, 등 부분을 마사지 해주거나, 생강차, 레몬차, 대추차 등 감기에 도움이 되는 차를 마셔주는 것도 좋습니다.
어린이나 영유아들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감기에 감염될 확률이 높습니다.
만약 아이가 감기 증상이 있을 땐 등원을 피해서 다른 아이들에게 전파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감기가 유행할 땐 가정에서나 기관에서도 아이들 개개인의 위생에 신경 써야 합니다.
이상 요즘 감기 증상과 감기 빨리 낫는법, 감기 예방 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환절기에 가장 피하고 싶은 불청객 중의 하나가 바로 감기나 독감이 아닐까 싶습니다.
감기에 걸리지 않게 미리 예방하면 좋겠지만 만약 어쩔 수 없이 감기에 걸렸다면 빨리 치료해서 예전 컨디션으로 회복하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주춤하면서 감기 환자들의 비중이 높아졌는데요. 요즘 감기가 쉽게 낫질 않기 때문에 초기 감기 일 때 빨리 약을 먹거나 몸을 충분히 쉬어주는 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날씨가 이제 추워지는 계절이 돌아왔는데요. 감기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건강한 하루 보내세요.
'식품 건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신협 달력 가계부 (0) | 2023.12.01 |
---|---|
사랑한다고 말해줘 1회 엔딩곡 OST 듣기 서리 sound of your heart 정우성 드라마 (0) | 2023.11.28 |
얼굴 베개 자국 빨리 없애는법 피부 노화 예방 (0) | 2023.11.02 |
치아 신경치료 통증 주의사항 크라운 종류 (0) | 2023.10.26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줄거리 결말 영화 출연자 배우 정보 (0) | 2023.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