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연은 우리 인체의 80여 가지 효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인슐린과 같은 호르몬 작용에도 필요한 미네랄인데 아연이라는 미네랄은 식물이나 동물에 극히 소량 분포하고 있다. 90년대 초부터 생명유지에 필수인 미량원소로 여겨졌으며 인체에 세포 성장과 생식기능, 면역 등의 체내 활동에 필수 미네랄 식품으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요즘은 영양제로도 많이 섭취하고 있는데 하루에 먹을 수 있는 아연 권장량과 아연 기능, 아연이 들어있는 식품들은 어떤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아연의 권장량과 결핍증상 체내의 철분 다음으로 많이 들어있는 미량원소가 아연이며 인체 여러 조직에 분포하고 있다. 사람의 몸에는 약 2g 정도 있으며 특히 눈 홍채에 많고 망막에도 멜라닌 결합형으로 많다. 머리카락, 췌장에도 다른..

쌀벌레 생기는 이유 예전만큼 쌀벌레 때문에 집집마다 걱정이 있는 시절은 아니지만 아직도 종종 쌀벌레가 쌀에 생겨서 난감한 경우가 많다. 쌀벌레는 온도가 높아지고 습도가 오르면 활동량이 많아져서 급속히 번지게 된다. 날씨가 더워지고 습도가 높아지면 쌀을 잘 보관해야 쌀벌레 생기는것을 막을 수 있다. 삼시세끼 매일 먹는 쌀에 쌀벌레 생기는 이유와 보관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쌀벌레란 무엇인가? 우선 쌀벌레가 어떤 벌레인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름은 쌀바구미 라고 불리며 학명은 Sitophilus oryzae 라고 불린다. 절지동물문이며 딱정벌레목 왕바구미과에 속한다. 크기는 3-4mm 정도 크기로 주로 한국을 비롯해서 전 세계에 분포하며 서식한다. 색은 흑갈색으로 성충은 15~16도가 되면 활동을 활발하게..

물은 지구의 생명체에게 가장 중요한 물질이다. 인간의 몸무게 70%가 물로 이루어졌는데 비열이 큰 물의 주요한 성분인 체액과 혈액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더운 여름과 추운 겨울에도 체온을 유지하고 지낼 수 있다. 비열이 작은 액체로 인간의 몸에 채워져 있었다면 인간은 기후에 변화하지 못하고 많은 수들이 멸종했을 것이다. 물은 수소(H)원자 2개와 산소(O) 원자 1개의 결합체이다. 액체 상태의 물은 많은 수의 물 분자들이 모여서 이루어졌다. 수분은 여러 가지 특성을 나타내는데 물 특성과 H2O 비열 등에 관한 정보를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수분 물 특성 H2O 비열 1. 전해질을 잘 용해시킨다. NaCl과 같은 전해질을 용해시켜 Na+와 Cl-로 해리하고, 그 주위에 물 분자가 집합하는 수화 현상을 일으..

설탕 화학식과 이론 설탕은 감미료로서 조리가공에 이용되며 과자 및 기호식품의 원료로 사용되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탄수화물의 대표적인 소당류인 설탕은 saccharose, sucrose, cane sugar로 불린다. 사탕무와 사탕수수에 다량 들어있는 단맛이 농축된 이당류로서 가수분해하고 D-glucose와 D-fructose를 생성한다. 설탕은 가수분해 되지 않다면 유리된 알데히드기 또는 케톤기도 가지지 않아서 환원력을 갖지 않는다. 설탕은 160도 정도에서 융해 하고 색은 갈색으로 변하기 시작하며 200도에서는 캐러멜화 하여 갈색의 캐러멜을 생성한다. 설탕의 화학식은 위와 같다. 위의 설탕 화학식(C12H22O11)을 보면 단당류 2배에서 탈수 축합 된 것을 볼 수 있다. 순수한 설탕은 자당(su..